경제

청년내일저축계좌, 3년 만에 만기수령 시 매칭지원금 한눈에 보기

semojung04 2025. 5. 10. 07:40
반응형

 

 

1.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
청년내일저축계좌

는 저소득 청년이 3년간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, 정부가 그에 맞춰 매칭 지원금을 적립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.
2022년부터 시행되어 2025년 기준 누적 12만 명 가입, 올해 4만 명 추가 모집 예정입니다.
일하는 청년의 자산형성과 사회정착을 돕는 정부 대표 청년 복지 프로그램 입니다.

청년내일저축계좌 텍스트 이미지

2. 가입 대상 및 지원 조건

구분 차상위 초과
(기준 중위소득 50~100%)
차상위 이하
(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)
연령 19~34세 15~39세
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50~100%
(1인 가구 월 112만~223만 원)
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
(1인 가구 월 112만 원 이하)
근로소득 월 50만 원 초과 ~ 250만 원 이하 월 10만 원 이상
정부 지원금 월 10만 원 월 30만 원
만기(3년) 지급액 720만 원 + 이자 1,440만 원 + 이자

3. 저축조건 및 만기수령 조건

  • 본인 저축: 월 10만 원 이상(최대 50만 원까지 가능, 일부 조건 참고)
  • 저축기간: 3년(36개월)
  • 교육 이수: 10시간 이상 정책교육 이수
  • 자금사용계획서 제출: 만기 시 필수
  • 근로활동 지속: 3년간 지속적으로 근로·사업 소득 유지
  • 계좌 유지: 3년간 계좌 해지 없이 유지

4. 매칭지원금 및 만기수령액 산출

차상위 초과 청년

  • 본인 저축액: 3,600,000원
  • 정부 매칭지원금: 3,600,000원
  • 총 적립금(원금): 7,200,000원
  • 이자(연 2%, 월복리): 약 444,841원
  • 만기 수령액(이자 포함): 약 7,644,841원

차상위 이하 청년

  • 본인 저축액: 3,600,000원
  • 정부 매칭지원금: 10,800,000원
  • 총 적립금(원금): 14,400,000원
  • 이자(연 2%, 월복리): 약 889,683원
  • 만기 수령액(이자 포함): 약 15,289,683원

※ 이자 소득세 면제: 청년내일저축계좌 이자에 대한 소득세가 면제되어 실수령액이 더 많아집니다.

이자 계산식 상세 설명

월복리 계산 공식:
A = P × (1 + r/n)^(n × t)
P: 원금(적립금), r: 연이율(2%), n: 1년 중 복리 횟수(12), t: 기간(3년)
차상위 초과: 7,200,000 × (1 + 0.02/12)36 ≈ 7,644,841원
차상위 이하: 14,400,000 × (1 + 0.02/12)36 ≈ 15,289,683원

5. 만기수령 절차 및 주의사항

  • 근로활동 지속: 3년간 지속적으로 근로·사업 소득 유지
  • 교육 이수: 10시간 이상의 정책교육 이수
  • 자금사용계획서 제출: 만기 시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필수
  • 통장 유지: 3년간 계좌 해지 없이 유지
  • 신청 기간: 2025년 5월 1일~5월 21일 (지역별 상이)
  • 신청 방법: 읍면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☞신청사이트 바로가기 클릭☞ 복지로 온라인 신청
  • 중복 가입 제한: 1인당 1회만 가입 가능
  • 재산 기준: 별도 재산 소유 기준이 있으니, 신청 전 확인 필요

6. 실제 수령액 예시 및 추가 인센티브

  • 차상위 초과 청년: 약 7,644,841원
  • 차상위 이하 청년: 약 15,289,683원
  • 추가 인센티브: 목표 금액 달성 시 근로소득공제금, 탈수급장려금 등 추가 지급 가능

7. 기타 참고사항

  • 이자 소득세 면제: 실수령액 증가
  • 정책교육 미이수 시 만기 수령 제한
  • 자금사용계획서 미제출 시 수령 불가
  • 매년 5월경 신청 집중, 마감일 확인 필수
  • 재산 기준 별도 확인 필요

8. 결론

청년내일저축계좌

는 3년간 꾸준히 저축하면, 본인 자금의 1~3배에 달하는 정부 매칭지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.
차상위 이하 청년의 경우, 본인 저축 360만 원에 정부 지원금 1,080만 원이 더해져 총 1,440만 원(이자 별도)까지 모을 수 있습니다.
만기 수령 조건(근로지속, 교육이수,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등)만 충족하면, 누구나 실질적인 목돈 마련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요약
3년 만기 시, 차상위 이하 청년은 최대 1,528만 원(본인저축 360만 원+정부지원 1,080만 원+이자 89만 원),
차상위 초과 청년은 최대 764만 원(본인저축 360만 원+정부지원 360만 원+이자 44만 원)까지 수령 가능.
2025년 기준, 누적 12만 명 가입, 올해 4만 명 추가 모집.
이자 소득세 면제, 추가 인센티브 지급 가능.
반응형